다양한 스테이블코인. 중앙포
다양한 스테이블코인. 중앙포토. “스테이블 코인이 전통 금융산업과 결합하면서 시스템 리스크로 전환되고 있다.” 국내외에서 스테이블 코인 법제화 가능성에 코인 시장이 들썩이는 가운데 국제결제은행(BIS)이 잠재적 위험을 경고했다. 이달 초 내놓은 보고서 ‘스테이블 코인 확산에 따른 정책 과제와 규제 접근법’에서다. BIS는 스테이블 코인 시장의 성장세에 주목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5월 말 기준 전 세계에서 유통되는 스테이블 코인은 약 170개로 시가총액은 2550억 달러(약 354조원)에 이른다. 60개(1250억 달러)가 유통됐던 1년 전보다 2배 이상 급증했다. 코인베이스 등 9개 글로벌 코인거래소에서 스테이블 코인이 거래에 사용된 비중은 2017년 말 7.9%에서 올해 5월 말 84%로 10배 이상 급증했다. 이중 미국 달러 기반인 테더(USDT)와 써클(USDC)의 스테이블 코인 시장 점유율(시가총액 기준)은 약 90%에 달한다. 달러 기반 스테이블 코인의 최대 장점은 ‘1달러=1코인’ 비율로 화폐처럼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미국 국채나 은행 예금 등 특정 자산에 코인 가치를 일대일로 연동해 가격 변동성을 낮췄다. 특히 스테이블 코인 환매 요청 시 국채 등 준비자산을 처분해 코인 액면가와 동일한 금액을 돌려받을 수 있다는 투자자 신뢰가 깔려있다. 신재민 기자 하지만 BIS는 가격 변동성을 우려했다. 스테이블 코인과 준비자산이 완벽히 일대일로 연동되지 않았던 사례도 있다.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에 따르면 2023년 1월부터 11월까지 USDC 등 주요 스테이블 코인은 ‘디페깅(가치 유지 실패)’이 600번 이상 나타났다. USDC 발행사인 서클이 실리콘 밸리은행에 준비자산의 8%를 예금으로 맡긴 게 대표적인 사례다. 해당 은행이 갑작스럽게 파산하면서 1달러에 고정된 USDC 가격은 한때 0.86달러까지 하락해 ‘코인런(대규모 코인 인출 사태)’ 위기에 몰리기도 했다. 여기서 끝이 아니다. 스테이블 코인런은 금융시스템 리스크로 이어질 수도 있다. BIS는 미국 국채 시장에 대한 파급력이 가장 클 것으로 봤다. 테더 등 주요 스테이블 코인이 3월 말 기준 전체 준비자산의 81.5%(1728억 달러)를 미국 국채로 굴리고 있어서다. BIS는 보고서에서 “스테이블 코인에 35억 달러(약 5조원) 자금이 유입되면 단기 미국 국채 금리는 약 0.025~0.05% 하락하지만(국채값은 상승), 반대로 자금 유출 시엔 하락 폭이 2~3배 커진다” 다양한 스테이블코인. 중앙포토. “스테이블 코인이 전통 금융산업과 결합하면서 시스템 리스크로 전환되고 있다.” 국내외에서 스테이블 코인 법제화 가능성에 코인 시장이 들썩이는 가운데 국제결제은행(BIS)이 잠재적 위험을 경고했다. 이달 초 내놓은 보고서 ‘스테이블 코인 확산에 따른 정책 과제와 규제 접근법’에서다. BIS는 스테이블 코인 시장의 성장세에 주목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5월 말 기준 전 세계에서 유통되는 스테이블 코인은 약 170개로 시가총액은 2550억 달러(약 354조원)에 이른다. 60개(1250억 달러)가 유통됐던 1년 전보다 2배 이상 급증했다. 코인베이스 등 9개 글로벌 코인거래소에서 스테이블 코인이 거래에 사용된 비중은 2017년 말 7.9%에서 올해 5월 말 84%로 10배 이상 급증했다. 이중 미국 달러 기반인 테더(USDT)와 써클(USDC)의 스테이블 코인 시장 점유율(시가총액 기준)은 약 90%에 달한다. 달러 기반 스테이블 코인의 최대 장점은 ‘1달러=1코인’ 비율로 화폐처럼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미국 국채나 은행 예금 등 특정 자산에 코인 가치를 일대일로 연동해 가격 변동성을 낮췄다. 특히 스테이블 코인 환매 요청 시 국채 등 준비자산을 처분해 코인 액면가와 동일한 금액을 돌려받을 수 있다는 투자자 신뢰가 깔려있다. 신재민 기자 하지만 BIS는 가격 변동성을 우려했다. 스테이블 코인과 준비자산이 완벽히 일대일로 연동되지 않았던 사례도 있다.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에 따르면 2023년 1월부터 11월까지 USDC 등 주요 스테이블 코인은 ‘디페깅(가치 유지 실패)’이 600번 이상 나타났다. USDC 발행사인 서클이 실리콘 밸리은행에 준비자산의 8%를 예금으로 맡긴 게 대표적인 사례다. 해당 은행이 갑작스럽게 파산하면서 1달러에 고정된 USDC 가격은 한때 0.86달러까지 하락해 ‘코인런(대규모 코인 인출 사태)’ 위기에 몰리기도 했다. 여기서 끝이 아니다. 스테이블 코인런은 금융시스템 리스크로 이어질 수도 있다. BIS는 미국 국채 시장에 대한 파급력이 가장 클 것으로 봤다. 테더 등 주요 스테이블 코인이 3월 말 기준 전체 준비자산의 81.5%(1728억 달러)를 미국 국채로 굴리고 있어서다. BIS는 보고서에서 “스테이블 코인에 35억 달러(약 5조원)
다양한 스테이블코인. 중앙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