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백효 해동경사연구소 소장이 평생의 과업인 사서삼경의 완역을 끝냈다. 김현동 기자 “군주는 백성이 아니면 부릴 사람이 없고, 백성은 군주가 아니면 섬길 사람이 없습니다. 스스로 크다 하여 남을 좁게 여기지 마소서(后非民罔使 民非后罔事 無自廣以狹人).” ‘한학의 대가’ 한송(寒松) 성백효(80) 선생에게 “새 대통령에게 전하고픈 말씀”을 묻자 나온 답이다. 성 선생은 유명 로펌 변호사부터 서울대 의대·법대 교수들이 ‘스승’으로 모시는 학자다. 한학자였던 아버지의 뜻에 따라 어린 시절부터 공교육 대신 사서삼경(四書三經) 등 고전을 깊게 공부했다. 1990년대부터 주 1회씩 모여 그에게 한학과 고전을 공부한 오피니언 리더들이 여럿이다. 2014년에는 성낙인 당시 서울대 총장의 요청으로 졸업식 축사를 하기도 했다. 현재 한국고전번역원 명예교수이자 해동경사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다. 그런 그가 최근 서경(書經)을 우리말로 편히 읽을 수 있게 돕는 『신역 서경집전』을 펴냈다. 평생의 염원이었던 사서삼경의 현대 한국어 완역이란 대장정을 서경으로 마무리한 것이다. 성 선생이 이재명 대통령에게 권한 글귀도 이 책에서 가져왔다. 성백효 선생이 최근 낸 완역 개정본. 그는 지난달 중앙일보와 인터뷰에서 “약 4300년 전의 이야기를 다룬 이 고전은 지금에도 갖는 울림이 크다”며 “한문은 ‘뜻글’인 만큼 그 깊이가 남다르다. 디지털 시대, 인공지능(AI)의 시대일수록 깊은 지혜와 뜻을 구하는 게 필요하다”고 했다. 인터뷰 중간중간 붓펜을 꺼내어 한자 표기 등 팩트를 거듭 확인하는 꼼꼼함도 보였다. 다음은 일문일답 요지. Q : 왜 지금 서경인가. A : “서경은 주로 정치사상을 다루는데, 오늘날에도 좋은 나침반이 된다. 내 나이 80인데 정치가 이렇게 혼란한 적이 없었던 것 같다. 옳고 그름이 사라졌다. 자신이 지지하는 당이라면 뭘 했어도 용인하는 게 대표적 현상이다. 조선시대 세종대왕 시절을 떠올려보자. 세종대왕이 내는 의견에도 반대 목소리를 내는 신하가 꽤 있었다. 조선왕조가 500년을 갈 수 있었던 까닭이다. 송나라 역시 300년을 구가했는데, 임금 앞에 ‘간언하는 신하는 절대 죽이지 말라’는 문구를 써놓았었다고 한다. 국무위원이 몇십명이 되어도 말없이 따르기만 하는 것과는 천지 차이다. 한국만 그런 것도 아니다. 세계 많은 나라가 민주주의를 채택하고 있지만, 용기를 내어 간언하는 이들은 찾아보기 어렵다. 어찌 보면 지금 우리는 조선시대보다 후퇴해 있다.” ‘동양 고전의 요체’로 불 성백효 해동경사연구소 소장이 평생의 과업인 사서삼경의 완역을 끝냈다. 김현동 기자 “군주는 백성이 아니면 부릴 사람이 없고, 백성은 군주가 아니면 섬길 사람이 없습니다. 스스로 크다 하여 남을 좁게 여기지 마소서(后非民罔使 民非后罔事 無自廣以狹人).” ‘한학의 대가’ 한송(寒松) 성백효(80) 선생에게 “새 대통령에게 전하고픈 말씀”을 묻자 나온 답이다. 성 선생은 유명 로펌 변호사부터 서울대 의대·법대 교수들이 ‘스승’으로 모시는 학자다. 한학자였던 아버지의 뜻에 따라 어린 시절부터 공교육 대신 사서삼경(四書三經) 등 고전을 깊게 공부했다. 1990년대부터 주 1회씩 모여 그에게 한학과 고전을 공부한 오피니언 리더들이 여럿이다. 2014년에는 성낙인 당시 서울대 총장의 요청으로 졸업식 축사를 하기도 했다. 현재 한국고전번역원 명예교수이자 해동경사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다. 그런 그가 최근 서경(書經)을 우리말로 편히 읽을 수 있게 돕는 『신역 서경집전』을 펴냈다. 평생의 염원이었던 사서삼경의 현대 한국어 완역이란 대장정을 서경으로 마무리한 것이다. 성 선생이 이재명 대통령에게 권한 글귀도 이 책에서 가져왔다. 성백효 선생이 최근 낸 완역 개정본. 그는 지난달 중앙일보와 인터뷰에서 “약 4300년 전의 이야기를 다룬 이 고전은 지금에도 갖는 울림이 크다”며 “한문은 ‘뜻글’인 만큼 그 깊이가 남다르다. 디지털 시대, 인공지능(AI)의 시대일수록 깊은 지혜와 뜻을 구하는 게 필요하다”고 했다. 인터뷰 중간중간 붓펜을 꺼내어 한자 표기 등 팩트를 거듭 확인하는 꼼꼼함도 보였다. 다음은 일문일답 요지. Q : 왜 지금 서경인가. A : “서경은 주로 정치사상을 다루는데, 오늘날에도 좋은 나침반이 된다. 내 나이 80인데 정치가 이렇게 혼란한 적이 없었던 것 같다. 옳고 그름이 사라졌다. 자신이 지지하는 당이라면 뭘 했어도 용인하는 게 대표적 현상이다. 조선시대 세종대왕 시절을 떠올려보자. 세종대왕이 내는 의견에도 반대 목소리를 내는 신하가 꽤 있었다. 조선왕조가 500년을 갈 수 있었던 까닭이다. 송나라 역시 300년을 구가했는데, 임금 앞에 ‘간언하는 신하는 절대 죽이지 말라’는 문구를 써놓았었다고 한다. 국무위원이 몇십명이 되어도 말없이 따르기만 하는 것과는 천지 차이다. 한국만 그런 것도 아니다. 세계 많은 나라가 민주주의를 채택하고 있지만, 용기를 내어 간언하는 이들은 찾아보기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