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성내교회 전경. 제주 성 바로 안쪽에 자리 잡은 이 교회의 네 번째 예배당으로 1974년 지어졌다. / 김한수 기자 “설러블라 설러블라 경허지 않으면 야가기 끄너 블켜(그만두라 그렇지 않으면 목을 베어 놓겠다).”1908년 선교를 위해 제주도에 도착한 이기풍(1865~1942) 목사를 맞은 것은 이런 살해 위협과 돌팔매였다. 제주도는 접근도 쉽지 않았지만 토속 신앙 뿌리가 깊었다. 1885년 언더우드·아펜젤러의 내한 이후 20년이 넘도록 개신교 선교가 이뤄지지 않은 이유이기도 하다. 이 목사는 굴하지 않았다. 조랑말 타고 섬 전역을 돌며 헌신적으로 일손을 돕고 환자를 기도로 낫게 하는 일이 벌어지자 사람들은 차츰 마음을 열었다. 한국 장로교 역사상 처음으로 제주도 선교에 나섰던 이기풍 목사. 이 목사는 1908~1915년, 1927~1931년 성내교회 목사를 역임했다. /조선일보DB 베이스캠프는 성내교회. 서울을 오가며 이미 개신교 신앙을 접한 주민 김재원의 도움으로 1908년 2월 8일 향교골 김행권이라는 사람의 집에서 예배를 드린 것이 시작이었다. 1년 만에 주일 예배에 20명이 출석하게 됐고 1910년경에는 마침 제주도에 유배와 있던 개화파 거두 박영효의 도움으로 옛 훈련청 터를 사들여 예배당을 갖추게 된다. 제주성(城) 바로 안쪽의 요지로 큰길 건너편은 제주목 관아였다. 성내교회 마당 안쪽 제주노회가 1948년 세운 이기풍 목사와 김재원 장로 공적비는 제주 선교의 뿌리가 이곳임을 보여주고 있다. 제주 성내교회 마당에 세워진 이기풍 목사와 김재원 장로 공적비 앞에서 이 교회 강연홍 담임목사가 설명하고 있다. /김한수 기자 이 목사의 제주 선교는 ‘한국인에 의한, 한국인을 위한, 한국인의 선교’라는 의미를 갖는다. 1907년 평양대부흥 이후 한국 장로교는 독립된 지역 조직 즉 독노회(獨老會)를 설립한다. 독노회는 마침 그해에 평양신학교를 졸업하고 한국인 최초로 목사 안수를 받은 7명 중 한 명을 제주 선교사로 파송하기로 결정했다. 선교 비용도 외국 선교사가 아닌 한국인들이 맡았다. 제주 성내교회 강대상 제주 선교 개척자인 이기풍 목사 때부터 사용한 것으로 전해진다. /김한수 기자 제주에서 돌팔매를 맞은 이 목사는 한때 외국인 댄 총(Dan Chong) 고비파트너스 영업대표. 사진 제공=고비파트너스 [서울경제] 홍콩·말레이시아 기반 벤처캐피털(VC) 고비파트너스가 서울에 지사를 열고 한국 시장과의 접점을 늘린다. 동남아 시장 진출 잠재력을 가진 국내 주요 스타트업을 발굴·투자하고 금융기관·대기업을 출자자로 모집하는 것이 목표다. 고비파트너스의 운용자산(AUM)은 20억 달러(약 2조 7378억 원) 규모로 아시아 VC 상위권 수준이다.댄 총(사진) 고비파트너스 영업대표는 10일 서울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한국은 창조적 기술이 넘치는 나라이고 동남아는 젊고 빠르면서도 사업을 대규모로 확장할 수 있는 시장”이라며 “이 둘이 만나면 단순 교역을 넘어선 ‘혁신의 다리’가 만들어진다”고 강조했다.고비파트너스는 2002년 설립된 VC로 홍콩과 쿠알라룸푸르에 본사를 두고 있다. 약 20억 달러의 AUM을 기반으로 동남아 등에서 12개의 지사를 운영하며 380여 곳의 초·중기 스타트업에 투자했다. 지난달 말 한국지사를 개소하고 조직 구축에 나서고 있다. 총 대표는 싱가포르 소재 미디어 대기업 미디어콥(MediaCorp)의 투자 담당 부사장 출신이다.고비파트너스는 국내 스타트업이 가진 기술적 잠재력에 주목하고 있다. 수준급 기술력을 갖춘 한국 기업들이 사업을 확장할 시장을 찾지 못하고 있는 만큼 빠르게 성장하는 동남아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가교를 놓으면 서로 ‘윈윈’이 가능하다는 구상이다. 서울에 지사를 열기 전 투자한 국내 배양육 스타트업 심플플래닛은 고비파트너스의 현지 네트워크를 활용해 각 정부 할랄(이슬람 율법상 허용된) 음식 인증을 받았다. 여기에 현지 유통망도 활용할 수 있게 되면서 말레이시아 등 이슬람 인구가 많은 시장에 안착했다.국내 금융기관·대기업으로부터 자금을 유치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국내 기업 다수는 빠르게 성장하는 동남아 기업 투자에 관심을 가지고 있지만 각종 리스크와 현지 전문 인력·조직 부재로 막상 자금을 투입하는 것은 주저하는 실정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