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주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세계 최고
페이지 정보
작성자 afht43oso
작성일25-06-09 18:43
조회2회
댓글0건
관련링크
본문
편집자주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세계 최고 명문인 하버드대를 정조준하며 미국 사회를 뒤흔들고 있다. 대학가의 반(反)유대주의 확산을 이유로 주요 대학의 연방정부 재정 지원을 대폭 줄이고, 하버드에는 외국인 학생 등록 자격까지 박탈하는 초강수를 뒀다. 표면적으로는 반유대주의 근절이 명분이지만, 하버드를 좌파 기득권의 상징으로 낙인찍고 진보 진영과의 '문화 전쟁'을 벌이려는 정치적 의도가 깔려 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미국 고등교육의 상징이자 세계 인재의 중심인 대학 캠퍼스가 이제 이념 전쟁의 최전선으로 내몰리면서, 학문의 자유와 미국의 국가 경쟁력까지 위협받고 있다는 우려가 내부에서 나온다. 아시아경제는 이에 3회에 걸쳐 트럼프 대통령과 미 명문대 간 충돌 양상을 조명하고, 그 정치·사회적 함의를 짚어본다. "하버드가 트럼프 대통령에게 강력하게 맞선다고요? 글쎄요. 하버드는 학생들을 지키려 하지만, 동시에 트럼프 대통령의 눈치를 굉장히 많이 보고 있습니다".지난 3일(현지시간) 오후 미국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의 하버드대. 취임 초 '대학 때리기'에 나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하버드를 정조준하면서, 세계 최고 명문대로 불리는 캠퍼스에도 전례 없는 긴장감이 감돌았다. 며칠 전 졸업식을 끝내고 여름방학을 시작한 하버드 캠퍼스는 겉보기엔 평화로웠다. 하지만 캠퍼스에서 직접 만난 학생들은 연방정부의 보조금 중단·유학생 단속 정책에 하나 같이 불안과 긴장, 분노와 우려를 감추지 못했다. 3일(현지시간) 미국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의 굳게 닫힌 하버드대 교문 틈 사이로 한 외국인 학생의 모습이 비친다. 케임브리지=권해영 특파원 하버드마저 트럼프 눈치…DEI 정책 후퇴·소수자 졸업식 폐지 3일(현지시간) 미국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의 하버드대 캠퍼스에서 신경과학을 전공하고 최근 졸업한 이선 카시오가 기자와 인터뷰하고 있다. 케임브리지=권해영 특파원 하버드에서 신경과학을 전공하고 최근 졸업한 이선 카시오는 하버드가 트럼프 대통령의 압박으로 다양성·형평성·포용성(DEI) 정책에서 한발 물러서고 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이선은 "관련 조직 명칭은 'DEI 사무국'에서 '학생 및 캠퍼스 생활'로 바뀌었고, 흑인·성소수 돈 패럴 호주 통상관광부 장관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하노이=연합뉴스) 박진형 특파원 = 미국과 무역 협상 중인 호주가 대미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다른 국가들과 자유무역협정(FTA) 확대를 추진하기로 했다.9일(현지시간) AFP 통신과 호주 ABC 방송에 따르면 돈 패럴 호주 통상관광부 장관은 전날 현지 매체에 "자유롭고 공정한 무역을 중시하는 전 세계 국가들이 FTA를 전 세계로 확대하는 데 합의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이어 "그렇게 되면 미국이 어떤 선택을 하든 우리는 더욱 다양한 무역 파트너를 확보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패럴 장관은 지난주 프랑스 파리에서 세계무역기구(WTO),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및 기타 여러 국가와 한 회담과 관련, 보호무역주의를 방지하고 자유롭고 공정한 무역을 장려하는 데 중점을 뒀다고 설명했다.그는 또 지난주 미국 측 협상 대표인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만나 "우호적인" 논의를 했다면서도 미국 관세에 항의했다는 사실도 분명히 밝혔다.패럴 장관은 "제이미슨 그리어(대표)에게 내가 제시한 입장은 미국이 호주에 부과한 관세가 정당하지 않다는 것"이라면서 "우리는 일부 관세만이 아니라 모든 관세를 철폐하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또 호주가 대미 무역적자 국가라는 점을 언급하면서 자신은 모든 미국 관세에 대한 면제 조치를 얻어낼 수 있다는 희망을 버리지 않았다고 덧붙였다.지난해 호주는 미국을 상대로 179억 달러(약 24조원)의 무역수지 적자를 기록했다.한편 미국과 호주 무역 협상에서 호주의 미국산 쇠고기 수입 문제도 주요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호주는 2003년부터 소해면상뇌증(BSE·광우병) 발생을 이유로 미국산 쇠고기 수입을 막았다가 2019년 미국에서 태어나고, 사육되고, 도축된 소의 수입을 허용했다.하지만 미국 축산업계에서는 소가 태어나고 사육되는 과정에서 캐나다·멕시코를 오가는 경우가 잦아 호주가 요구하는 수입 조건을 갖춘 업체가 거의 없다고 로이터 통신은 전했다.반면 공급이 풍부하고 가격이 저렴한 호주산 쇠고기는 최대 수출 시장인 미국에 지난해 44억 호주달러(약 3조9천억원)어치를 수출했다.이에 따라 USTR은 지난 3월 펴낸 '2025 외국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