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후기

여행후기

[서울=뉴시스] 김명년

페이지 정보

작성자 afht43oso
작성일25-06-06 15:27 조회2회 댓글0건

본문

[서울=뉴시스] 김명년 기자 = 현충일을 하루 앞둔 5일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참배객들이 묘역에 참배하고 있다. 2025.06.05. kmn@newsis.com [서울=뉴시스]조수원 기자, 임채영 인턴기자 = "이렇게 아픈 가슴은 전쟁은 없어야죠. 내 생애에도 없어야 하고 우리 후손에게도 절대 있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해요."지난 5일 제70회 현충일을 하루 앞두고 찾은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 이날 현충원에는 어린이집에서 단체로 온 영유아부터 군인, 가족 단위, 고령층 전우회 등 남녀노소가 전시실을 구경하거나 참배하기 위해 묘비로 발걸음을 재촉하는 모습을 보였다.6·25전쟁에 참전해 돌아가신 아버지의 묘를 참배하기 위해 방문했다는 장순자(75)씨는 4~5살 무렵이었던 어린 시절에 돌아가신 아버지를 생각하면 눈물부터 쏟아진다고 했다.그는 "아버지 얼굴도 잘 모르지만 '어쩌다 나를 두고 돌아가셨을까'했는데 나이를 먹으니 그 젊은 나이에 돌아가셨다 생각하면 가슴이 아프다"며 "세상 살면서 생각하니까 더 마음의 상처가 깊어졌다"고 말했다.그러면서 "(아버지가)휴가를 한번 왔는데 쪽박 모자를 쓰고 총을 메고 왔었다"며 "목포 역전에서 나를 안고 뽀뽀해 주던 게 생각이 난다"고 떠올렸다.장씨에게 현충일의 의미를 묻자 "6·25전쟁은 나라의 비극적인 전쟁이었지만 우리에게도 상처가 크다"며 "부모를 잃은 사람도 많았다"고 했다. 이어 "내 세대나 후세에나 절대 전쟁은 없다는 생각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죽마고우였던 친구가 광주 5·18 민주화운동에서 목숨을 잃었다는 또 다른 참배객 경영진(70)씨는 "나보다 한 살 덜 먹었는데 엄청 친한 친구였다"고 추억했다.그는 "현충일 당일은 난리도 아니라서 조용할 때 미리 와서 친구한테 인사하고 가는 것"이라고 했다. 또 "이렇게 현충일에 추모하는 게 없어지면 안 된다"며 "영원히 계속해야 한다"고 덧붙였다.월남전 유공자인 두 친구를 보러왔다는 박상우(78)씨는 "오면 마음이 편안하고 안 오면 찝찝한 느낌이 있다"며 "심심하고 보고 싶을 때 한 번씩 왔다 간다"고 했다. 또 "생사고락을 함께 했으니까 그립고 보고 싶다"고 했다. [서울=뉴시스] 김명년 기자 = 현충일을 하루 앞둔 5일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참배객이 최근 막을 내린 구미 아시아육상선수권 기간 중 한국인 여성을 성폭행한 혐의로 경찰에 붙잡힌 이란 육상선수와 코치 등 3명이 구속된 것으로 알려졌다.5일 경찰에 따르면 지난달 31일 경북 구미의 한 호텔에서 20대 한국인 여성이 이란 육상선수 등에게 성폭행당했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신고를 받고 출동한 경찰은 현장에서 30대 이란 육상선수 2명과 코치 1명을 현행범으로 체포했다.피해자 측 법률대리인을 맡은 법무법인 대련은 "해당 사건은 구미경찰서 여성청소년수사팀에서 수사 중이다. 구미경찰서에서 구속영장을 지난 1일 청구했고, 2일 영장실질검사 후 구미지방법원에서 범죄자 3명에 대한 구속영장이 모두 발부된 상태다. 수사와 재판을 받게 될 예정"이라고 밝혔다.특히 피해자 측은 국내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확산되는 2차 가해에 대해서도 적극 대응할 방침이라고 전했다.법무법인 대련 김범식 대표변호사는 "온라인 상에서 피해자의 명예를 훼손하고 모욕하는 허위 사실들도 다수 유포되고 있는 상황이다"며 "이 같은 명백한 2차 가해 역시 좌시하지 않을 것이다. 현재 해당 게시물 수집과 증거 보존을 진행 중으로 명예훼손 및 모욕죄 등으로의 법적 대응을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경북 구미에서 세계적인 대회가 치러지는 가운데 불미스러운 사건으로 인해 국제 사회에서도 해당 사건에 대해 관심이 쏠리고 있다.이란 내부에서도 이번 사안에 대해 "안타깝고 부끄러운 사건"이라며 유감을 표하며, 일부 언론과 시민들 사이에서는 철저한 처벌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김범식 변호사는 "이번 사건은 단순한 형사사건을 넘어 국제 스포츠 대회 기간 중 발생한 중대한 인권침해다. 외국 국적을 가졌다고 해서 우리 법의 적용을 피할 수는 없다"며 "형법 제297조 강간죄, 제298조 강제추행죄, 특수강간 혐의 등이 적용될 수 있고 최대 무기징역에 해당할 수 있는 사안"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형법 제2조(국내범), 형사소송법 제3조(국내범죄에 대한 재판권)에 따라 대한민국 법원이 당연히 관할권을 가진다. 철저한 처벌이 이뤄질 수있도록 책임을 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