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념적 혁신가' vs '실험적 혁신가' 로 분류하고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작성일25-04-15 23:36
조회1회
댓글0건
관련링크
본문
개념적 혁신가' vs '실험적 혁신가' 로 분류하고 뒷받침할 자료들을 포함하고 있습니다.(아래 그림) 폴 세잔의 경우 그는 '실험적 혁신가'로 연령이 높아질수록 그림의 가격이 높아지는 '거장'의 유형이며, 파블로 피카소의 경우 '개념적 혁신가'로 2,30대에 최고 작품 수준을 보이는 '천재'의 유형을 하고 있다고 합니다시카고대학 경제학자가 면밀하게 분석한 천재적 화가와 시인들의 새로운 초상서평단으로 선정되어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읽었습니다그의 연구는 심리학자들이 시행한 예술가들의 창의적인 생애 주기에 대한 연구와는 달리, 예술가 개인의 시계열의 접근과는 다르게 개념적 혁신가와 실험적 혁신가로 분류하여 창의적인 생애 주기를 연구한다는 차별점이 있습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예술가와 예술 분야를 이해하는 방식에서도 차이를 갖습니다.그림 가격 분석을 위해 다중 회귀 방정식에 따라 얻은 추정치를 통해 폴 세잔과 파블로 피카소의 연령이 그림의 판매 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그래프로 제시하기도 합니다.데이비드 W. 갤런슨,『천재와 거장』반 고흐는,,,사실 그것은 이미 '오래전에' 계산된 거야"예술 창의성의 비밀을 밝힌 획기적 걸작,저자는 근대 화가, 근대 이전 화가, 조각가, 시인, 소설가, 영화감독, 건축가 등 여러 예술가들을 이러한 방식으로 분류하며 분석합니다. 그의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한 근거로 예술가들의 말과 글, 비평가들의 평가, 예술가들의 작업 방식, 작품 전성기 등 다양한 접근과 분석 결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저자 : 데이비드 W. 갤런슨창의성 탄생의 두 가지 모습독자는 자신이 좋아하는 예술가가 어떤 유형으로 분류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저자가 제시한 자료와 통계를 보면서 예술가의 창의적 탐구 방식을 알아갈 수 있을 것 같습니다.목차는 이론, 측정, 확대 적용, 영향, 근대 이전 미술, 그림을 넘어, 관점 ㅡ 총 7장으로 구성됩니다.도서명:천재와 거장예술가의 창의성에 대하여 관심있는 분들께 추천드립니다. 처음 들어보는 예술가나 모르는 작품이 언급되는 경우 책의 이해도가 떨어져 독자로서 한계를 느낄 때도 있었습니다.개념적 혁신가(파블로 피카소)는 연역적으로 일하며, 대부분은 젊은 천재들로 활동 초기에 자신의 분야에서 대혁신을 불러오지만, 실험적 혁신가(폴 세잔)는 귀납적으로 일하며, 보통 후반기에 가장 위대한 업적을 이루는 거장들의 유형이라 설명합니다.전박적인 맥락으로 볼 때 예술적 혁신은 고립된 천재들에 의해 이루어지는 게 아니라 스승들의 지도와 동료들의 협력에 기반한다는 점을 상기시켜준다.출판사 : 글항아리피카소,,,"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다. 내가 그림을 그리는 이유는 찾기 위해서가 아니라 찾은 것을 보여주기 위해서다"/'나는 사물을 보는 대로 그리는 것이 아니라 생각하는 대로 그린다'고 말한 바 있다.The Two Life Cycles of Artistic Creativity저자 데이비드 W. 갤런슨은 시카고대학 경제학과 교수입니다.두 명을 '개념적 혁신가' vs '실험적 혁신가'의 유형으로 보여줍니다.개념적 혁신가들의 특징은 대부분 자신의 작품이 지닌 타당성과 중요성을 강하게 확신하며, 이러한 확신을 바탕으로 새로운 아이디어로 새로운 작품을 내놓습니다.데이비드 W. 갤런슨, 『천재와 거장』그의 저서 대표작을 살펴보면 그의 이전 연구가 예술적 창의성을 다루었음을 볼 수 있습니다.일부 문장 소개해 드립니다.439페이지의 두툼한 양장본으로 묵직한 책입니다.도서 정보, 책 옆면, 창의성 진단 표(옮긴이의 말 中)작품에 수록된 예술가(181명)'나는 그림을 통해탐구한다_폴 세잔'과발행일 : 2025. 2. 28책을 읽으면서 책에 나온 심층적인 연구의 깊이가 논문에 가깝다고 느꼈는데, 책 후기를 보니, 책의 대략적인 내용이 저자가 2003년 파리 아메리칸대학에서 열린 '예술을 측정하기'라는 제목의 콘퍼런스에서 발표한 논문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나는 탐구하지 않는다.발견한다._파블로 피카소'로댕의 비서로 수년간 일했던 시인 라이너 마리아 릴케는 "로댕의 작품은 오랜 세월에 걸쳐 발전했다. 마치 숲처럼 자랐다"라고 표현했다.저자는 3장 '확대적용'을 통해 다양한 접근 방식과 돌연변이 등을 다루며 예외 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등 연구의 신뢰도를 높여 나갑니다.책 일부, 분위기책에 나오는 총 181명의 예술가를 저자의 연구 방식에 따라 '개념적 혁신가' vs '실험적 혁신가'로 나누는 유형을 읽어보다 보면 저의 예상과는 다르게 분류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버지니아 울프와 헤밍웨이의 경우 제 예측과는 반대로 버지니아 울프는 '실험적 혁신가(거장형)'로 헤밍웨이는 '개념적 혁신가(천재형)'로 분류되었습니다. 그들의 창의적 작업 방식에 접근하는 태도와 중요 작품의 성과들을 바탕으로 분류한 것으로 저자가 주장한 근거들을 읽어감으로써 독자들은 예술가를 더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글항아리(문학동네) 인스타그램을 보고,리히터는 "고립에서는 어떤 성과도 나올 수 없다. ,,사람은 주변 환경이 중요하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