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반도체 (PG)
중국 반도체 (PG) [구일모 제작] 일러스트 (서울=연합뉴스) 권수현 기자 = 중국 반도체업계가 수입 반도체의 원산지를 웨이퍼 제조국이 어딘지를 기준으로 판단하기로 했다. 미중 관세전쟁 속에 미국산 반도체에 관세를 부과하기 위한 규정을 명확히 하면서 중국으로의 아웃소싱을 장려하려는 포석으로 해석된다. 12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와 로이터통신, 중국 경제매체 제일재경 등에 따르면 중국반도체산업협회(CSIA)는 전날 소셜미디어 위챗을 통해 반도체 원산지 기준에 대한 공지를 올렸다. CSIA는 공지에서 "패키징 공정을 거쳤든 거치지 않았든 모든 집적회로 제품의 수입통관 시 원산지는 웨이퍼 제조 공장 위치를 기준으로 신고할 것"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고도로 전문화·다국가화 돼 있는 반도체 공급망 특성을 고려할 때 그동안 업계에서는 반도체 수입 시 관세를 적용하는 원산지 기준이 불확실했는데 이를 명확히 한 것이다.증권사 번스타인의 애널리스트들은 투자자들이 보통 팹이 아닌 패키징이 어디에서 이뤄지느냐를 기준으로 원산지를 판단해왔고, 팹을 변경하기가 훨씬 더 어렵다는 점에서 CSIA의 이번 조치는 시장을 놀라게 했다고 평했다. 미중이 서로 100% 넘는 고율 관세를 부과하는 등 관세전쟁이 격화하는 가운데 나온 이 조치로 중국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계가 상당한 탄력을 받게 될 전망이다. 실제로 협회의 공지가 나온 후 중국 최대 파운드리 업체인 SMIC(중신궈지)는 전날 홍콩 증시에서 주가가 5.9% 상승했고 화훙반도체는 14% 급등했다. 이에 비해 미국 내 팹(fab·반도체 생산공장)에서 생산된 칩은 중국으로 수입될 때 높은 관세를 부과받게 된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전쟁의 일환으로 미국이 중국에 대한 관세를 145%로 재산정하자, 중국은 미국에 대한 관세율을 125%로 높이는 보복에 나섰다.업계에서는 인텔과 텍사스인스트루먼트(TI), 글로벌파운드리, 마이크로칩테크놀로지 등이 이번 조치로 가장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보고 있다. 상하이에 있는 반도체 시장조사 업체 IC와이즈는 세계 최대 집적회로 시장인 중국의 이런 규정이 미국 내에서 생산된 칩의 비용을 높일 수 있다며 "(트럼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협상 전략은 병 주고 약 주는 식이다. 처음에 아주 큰 것 100을 내놓으라고 심하게 겁박한다. 상대방은 물론 주변국과 국제사회도 너무 심하고 엉뚱하다는 반응이 나올 정도로 밀어붙인다.그러다가 밀고 당기며 통첩 시한에 임박하거나 어느 정도 시일이 지난 뒤 양보하거나 크게 인심을 쓰듯 '절반만 가져갈 테니 내놓으라'고 한다. 상대방은 '우리가 애써 절반을 지켰다'며 안도의 한숨을 내쉰다. 국제 법규와 관례를 무시한 무례한 요구를 한 트럼프를 원망하기는커녕 되레 고마워하면서.이번 상호관세 부과 계획도 마찬가지다. 지구촌 70여 국가를 대상으로 상호관세를 매기겠다고 윽박질렀다. 그러다가 정착 발효 당일인 9일, 중국을 제외한 나머지 국가는 90일간 유예하고 10%의 기본관세만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결과적으로 원래 없던 관세 10%를 부과하는 것임에도 많은 국가들이 24~46%의 상호관세를 당분간 피하게 됐다며 안심했다.트럼프는 상호관세 부과 발효 전날까지 "건강해지려면 쓴 약도 들어야 한다"며 강행할 태세였다. 미국 내에서 트럼프더러 국정에서 "손을 떼라(Hands Off)"고 외치는 시위가 벌어지는 등 반발이 심했다. 미국은 물론 주요국 주가와 통화가치가 큰 폭으로 떨어졌다. 그러다가 발효 당일 90일 유예가 발표되자 미국과 세계 주요국 증시가 반등했다. 통화가치도 회복됐다. 한국 증시와 원·달러 환율도 마찬가지였다.하지만 트럼프가 당초 상호관세 부과 계획을 발표하지 않았더라면 주요국 주가와 통화가치가 떨어지는 일 자체가 없었을 것이다. 그럼에도 폭락했던 주가와 통화가치가 오르자 각국 정부와 투자자들은 트럼프의 느닷없는 상호관세 부과 계획 발표 사실은 잊은 채 '유예 발표'와 증시 및 통화가치 반등을 반기는 아이러니가 연출됐다.트럼프의 관세정책과 통상협상 전략은 세계무역기구(WTO) 체제 등 국제 통상질서를 우롱하며 자국 이익을 극대화하는 모습이다. 트럼프 1기 행정부나 2기 행정부나 당초 자신이 부과하려는 관세율보다 훨씬 높게 발표한 뒤 협상 과정에서 깎아줌으로써 시장과 상대국을 안심시키는 행태를 반복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중국이 미국에 맞서 관세율을 34%에서 84%로 끌어올리자 트럼프는 대중對中 관세율을 145%로 높였다. 이에 맞서 중국도 대미 對美 관세율을 125%로 끌어올렸다. 중국은 위안화
중국 반도체 (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