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기사는 해고 당사자의 동의를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작성일25-05-23 21:56
조회2회
댓글0건
관련링크
본문
본 기사는 해고 당사자의 동의를 얻어, 노동위원회 부당해고 구제신청 사건 대리인이 작성한 것입니다. <기자말>[신지심 기자]순진했다. 지난 16일 노동위원회로부터 부당해고 판정서를 수령한 바로 그 날, 여러 경로를 통해 사용자가 복직이 아니라 폐업을 준비하고 있다는 소식을 들었다. 법이 노동자에게 도움이 되는 순간이 드물다는 걸 알면서도 기대했던 내가 어리석었던 걸까.주먹구구식 주얼리 업계?▲ 주얼리업계는 결코 주먹구구가 아니다. 오히려 굉장히 꼼꼼한 곳이다.ⓒ pokmer on Unsplash 노동조합과 한창 교섭 중이던 어느 날, A주얼리는 17명 중 5명을 정리해고했다. 금 한 돈 시세가 60만 원을 넘는 시대. 골드바 수요는 폭발했지만, 반지, 목걸이, 귀걸이 등 주얼리 주문량은 예전 같지 않다는 것이 이유였다. 정리해고는 단순히 "회사가 어렵다"는 주장만으로는 정당화되지 않는다. '긴박한 경영상의 필요'가 인정되어야 하고, 그 판단은 구체적 자료에 근거해야 한다. 매출, 영업이익, 자산·부채·현금 흐름 등 객관적인 지표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하며, 무엇보다 이 모든 것을 입증할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다.하지만 사용자는 경영 상태를 입증할 자료를 아무 것도 제출하지 않았다. "영세한 개인 사업자이기 때문에 회계자료가 없다"고 했다. 이에 해고자들은 주얼리 업계가 공통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골드O'이라는 회계프로그램을 A주얼리도 사용하고 있으니 자료 제출이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그러자 사용자는, 그 프로그램을 사용 중이긴 하지만 매달 자료를 삭제하고 있다고 답변했다. "주얼리업계가 다 이런 식으로 주먹구구식으로 운영 중"이니 이해해 달라고 덧붙였다. 과연 그럴까?주얼리업계는 결코 주먹구구가 아니다. 오히려 굉장히 꼼꼼한 곳이다. 금을 세공하는 과정에서 날리는 금가루(로스분)를 회수하기 위해, 작업에 사용한 장갑, 세척액, 카페트 등을 모두 모아 '분석'업체에 보내 금을 추출한다. 이 분석업체는 추출한 금으로 금괴를 만들고, 이를 주얼리 세공업체에 보내준다. 금 시세가 높아지면 금괴의 가격도 올라가고, 이렇게 만들어진 수천만 원짜리 금괴는 주얼리업체의 비공식 자산이 된다.A주얼리는 금가루 하나도 놓치지 않기 위해 30 주요 K뷰티 짝퉁사례 갈무리 지난해 우리나라 화장품 수출 규모가 102억달러(한화 약 14조8000억원)로 사상 최대 규모를 기록한 가운데 위조품 역시 눈에 띄게 증가했다. 악성 판매자들은 국내 주요 인기 제품들의 외관과 느낌을 그대로 재현해 해외 소비자를 상대로 팔고 있다.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뿐만 아니라 해외 이커머스(전자상거래)를 통해서도 위조품 유통이 늘어나면서 국내 화장품 브랜드들도 대응책 마련에 분주해졌다. 23일 브랜드 보호 솔루션 스타트업인 '마크비전'에 따르면 최근 위조 뷰티 제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미국 소비자 5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위조품 구매자의 70.8%는 정품인 줄 알고 산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중 43%는 위조상품을 SNS 쇼핑 플랫폼을 통해 구매했다고 밝혔다. 아마존·이베이 같은 미국 기반 이커머스에서 구매했다고 답한 응답 비중도 38%였다. 최근 미국 내 주요 이커머스가 위조 상품을 방지하기 위한 정책을 도입했지만 거래량이 워낙 방대한 탓에 모니터링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마크비전 관계자는 "악성 판매자들은 SNS의 높은 접근성을 악용하고 있으며 매력적인 사진 등을 활용해 소비자의 충동 구매를 유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틱톡과 인스타그램 등에 '#fakekbeauty' 등으로 검색하면 브랜드별 위조품 판별 방법 등 관련 정보를 찾아볼 수 있다. 위조품이 증가하면서 해외 소비자들사이에서 해당 정보를 공유하는 사례가 늘어난 것이다.한 K뷰티 판매자는 최근 인스타그램에 국내 K뷰티 브랜드 A사의 정품 세럼과 위조품을 비교하는 사진을 게재했다. 외관으로는 정품과 위조품을 구분하기 어려울 정도다. 아울러 B사의 대표 선스틱, C사의 에센스 등 제품 용기는 물론 포장 박스까지도 유사한 위조품 사례 등도 소개했다. 해당 게시글을 본 해외 소비자들은 "사진에서 조차 두 상품간 차이를 잘 모르겠다", "사진을 보니 최근에 샀던 제품이 정품이 아닌것 같다" 는 등의 반응을 보였다. SNS뿐만 아니라 이커머스에도 국내산 화장품 모방 사례는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중국 대표 이커머스인 알리익스프레스에서 '섀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