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스는 늘 든든한 백업 역할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작성일25-05-21 13:42
조회1회
댓글0건
관련링크
본문
반스는 늘 든든한 백업 역할을 했다. 초창기에는 야스마니 그랜달의 뒤를 받쳤다. 그랜달은 선구안, 파워가 준수하고 프레이밍이 좋았던 포수. 다만 수비력이 떨어져 제구가 원활하지 않은 선수와는 호흡이 좋지 못했다. 이 때 반스가 포수 마스크를 쓰며 든든하게 그를 보좌했다.반스는 캔리 잰슨이 떠나며 클레이튼 커쇼 다음으로 다저스에서 가장 오랜 시간을 보낸 선수다. 또 앤드류 프리드먼 다저스 야구운영부문 사장의 첫 작품이라고 해도 손색이 없다.러싱의 장점은 좌타자로서 굉장히 짧고 빠른 타격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타석에서 참을성 있는 모습까지 보여준다는 점이다. 게다가 파워도 어느 정도 갖춰 컨택을 갖춘 중장거리 타자로도 활약할 수 있는 재능을 지녔다.러싱은 이번 시즌 트리플A에서 타율 0.308 OPS 0.938 5홈런 17타점을 올렸다. 김혜성이 메이저리그에 성공적으로 안착했음을 고려할 때 러싱의 성공 가능성도 상당히 높은 편이다.반스는 지난 2014년 12월 마이애미 말린스에서 4:3 대형 트레이드를 통해 다저스로 넘어왔다. 당시 함께 건너온 선수는 키케 에르난데스다. 프리드먼 사장이 11월 다저스에 부임했고, '프리드먼 시대'의 서막을 알린 첫 번째 행보였다.스미스가 올라온 뒤 반스는 만년 백업 신세로 전락했다. 지난 2020년 첫 월드시리즈 우승을 함께하기도 했지만 반스의 타격 성적은 점점 떨어졌다. 2021 시즌부터 4시즌 평균 타율이 0.215에 불과했다.한편, 반스는 다저스에서 월드시리즈 2차례 우승을 차지했으며 11시즌 통산 타율 0.223, OPS 0.660에 35홈런 162타점을 기록했다.지난 2017년 타격에서 타율 0.289, OPS 0.895를 기록하며 당시만 해도 그랜달의 뒤를 잇는 다저스의 안방마님은 반스가 될 것처럼 보였다. 그랜달이 2018 시즌을 마치고 FA 자격을 얻는 상태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다저스는 러셀 마틴을 데려와 1년을 채웠고, 이후에는 팜에서 급성장한 윌 스미스가 주전 자리를 꿰찼다.사진 제공 = LA 다저스 공식 SNS미국 스포츠 매체 ESPN의 앨든 곤잘레스 기자는 14일(현지 시간) LA 다저스가 포수 오스틴 반스를 DFA 처리했다는 소식을 전했다. 이어 다저스는 반스의 자리에 트리플A 오클라호마에서 활약하고 있는 팀 내 유망주 랭킹 1위 달튼 러싱을 불러들였다고 말했다.다저스가 10년 이상 안방을 지켰던 포수 반스를 방출했다.테오스카 에르난데스, 토미 에드먼 등 주축 자원들이 부상자 명단(IL)에 오른 다저스는 결국 반스를 포기하고 러싱을 콜업했다.지난 20일 말레이시아 랑카위에서 개막한 ‘말레이시아 국제 해양·항공 전시회(LIMA) 2025’의 MBDA 부스. 유럽을 아우르는 이 미사일 제조업체는 한국항공우주산업(KAI) KF-21의 대형 목업(전시용 모형)을 전면에 내세웠다. MBDA의 장거리 공대공 미사일 미티어(Meteor)를 KF-21 목업에 장착해 홍보전에 나선 것이다. 지난 20일(현지시간) 말레이시아 랑카위에서 열린 방산전시회 ‘LIMA 2025’에 유럽 미사일 제조업체 MBDA가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의 KF-21 전투기 모형에 브림스톤 미사일 등 자사의 미사일 모형을 탑재해 전시했다. [한국방위산업진흥회 제공] 이처럼 LIMA 2025에서 ‘K-방산’은 하나의 흥행 요소로 활용됐다. 한국 업체를 향한 관심을 넘어 K-방산의 인기를 전략적으로 활용하려는 해외 업체의 행보는 주목할 만했다. MBDA의 KF-21 목업 옆 KAI의 경공격기 FA-50 목업이 자리한 장면도 같은 맥락이었다. 이 목업에는 MBDA의 공대지 미사일 브림스톤(Brimstone)이 달려있었다. 2023년 말레이시아로 18대 수출이 확정돼 내년부터 인도되는 FA-50M(FA-50의 말레이시아 수출용 버전)의 무장에 브림스톤은 여전히 후보군일 뿐이다. 브림스톤이 달린 FA-50 목업을 통해 MBDA의 ‘희망’이 드러난 셈이다. 특히 K-방산이 개척하는 시장 경로를 가볍게 보기 어렵다는 게 MBDA의 평가다. 사비오 바부 MBDA 항공담당 기술임원은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에서 KAI가 활동하는 시장은 MBDA가 진출하기에 전략적으로 매우 매력적인 통로”라고 강조했다. 인도네시아가 KF-21의 공동 개발국으로 참여하고, 말레이시아가 18대 규모의 FA-50 2차 추가 도입을 저울질하고 있다는 점을 활용하려 한다는 의미다. 지난 20일(현지시간) 말레이시아 랑카위에서 열린 방산전시회 ‘LIMA 2025’에서 유럽 미사일 제조업체 MBDA가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의 FA-50 전투기 모형에 미티어 미사일 등 자사의 미사일 모형을 탑재해 전시했다. [한국방위산업진흥회 제공] LIG넥스원 부스에선 많은 동남아 국가들이 함정용 근접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