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송역 KTX 정차 모습. 사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작성일25-05-21 11:11
조회3회
댓글0건
관련링크
본문
오송역 KTX 정차 모습. 사
오송역 KTX 정차 모습. 사진=이희택 기자. 전국 17개 시·도 중 유일하게 고속철도 역사를 갖추고 있지 않은 세종특별자치시. 2012년 세종시 출범 이후 희망고문으로 남아 있던 'KTX 세종역' 설치가 완전히 물 건너가는 모양새다. 더불어민주당이 십수 년째 공약 의제로 선점하고, 국민의힘도 선거 때마다 단골 메뉴로 내놨으나 6.3 대선에선 슬그머니 종적을 감췄다. 세종시 공약은 국민의힘이 5월 16일, 더불어민주당이 5월 19일 차례로 내놓으면서, 승부수를 띄우고 있다. 문제는 2012년 지방선거와 총선, 2014·2018·2022년 지방선거, 2016·2020·2024년 총선 때마다 단골 메뉴로 등장한 'KTX 고속철도' 설치가 완전히 종적을 감춘 데 있다. 2016년 총선 공약에도 담긴 KTX 세종역 신설. KTX 세종역은 국가 사업으로 추진하지 않을 경우, 실행이 어려운 과제로 꼽힌다. 사진=선거관리위원회 제공. 민주당은 그동안 이해찬 전 국회의원과 이춘희 시장, 강준현·홍성국 국회의원으로 이어지는 지역 정치 계보를 통해 'KTX 세종역'을 빼놓지 않고 약속했다. 기류는 2020년 대선 국면에서 조금씩 달라지기 시작했다. 이재명 후보는 당시 세종~서울 간 환승 없는 직통 (준)고속열차, 당시 명칭으론 ITX 세종선, 서울~천안~조치원~정부세종청사 연결 전철 연장 운행 을 약속한 바 있다. 이번 대선에선 '세종~충청을 하나로 연결하는 CTX 등 광역교통망 구축을 내걸고 있다. 2034년 완공 흐름에서 2032년으로 조기 개통하겠다는 약속 외에는 없다. CTX는 수도권 GTX처럼 지역 간 이동 수단이란 점에서 'KTX 고속철'과는 결 자체가 다르다. 민주당 강준현 의원(세종 을)의 2024년 공약(좌)은 정부세종청사~수도권 ITX 직결 노선 추진, 무소속 김종민 의원(세종 갑)의 공 청주대 비행교육원 교육장으로 사용하고 있는 건물의 균열 상태/사진제공=나요안 기자 "갑자기 굉음과 함께 강의실 내부 벽에 금이 가고, 창문도 틀어져 안 닫혀요. 요즘도 오후에 진동이 느껴집니다. 건물 여러 곳에서 균열이 심하게 발생했고 현재도 진행 중입니다." 전남 무안군 청계면 고로리 청주대 비행교육원 건물에 갑작스런 균열이 발생, 이곳에 상주하는 교육생과 직원 35명이 위험을 호소하고 있다. 21일 비행교육원 관계자 등에 따르면 인근에서 진행 중인 고속철 터널 공사장에서 벌이고 있는 발파 작업 때문에 발생한 일이지만 시공사와 시행사인 철도시설공단은 즉각적인 대처를 미루고 있다. 교육원 건물에 이상이 발생한 것은 지난달 14일이다. 한창 교육 중이던 오후 2시쯤 갑자기 건물 내부에서 굉음과 함께 심한 균열이 발생하기 시작했다. 이후에도 교육생과 직원들은 건물 안에서 진동을 느끼거나 새롭게 생긴 균열을 발견하는 일이 이어지고 있다. 현재 교육원 건물 주변으로 철도시설공단이 발주한 호남고속철 2단계 공사가 진행 중이다. 광주 송정역에서 무안국제공항까지 연결되는 고속철은 청계면 고로리 일원에서부터 공항역사까지 지하로 연결된다. 지하 터널 구간은 총 5.1km이며 시공사는 태영건설이다. 지난 3월부터 매일 오전 7시부터 1~2회 터널굴착공사 현장에서 발파 작업을 하고 있다. 오후에 추가 발파할 때도 있다. 이 때문에 교육원 관계자들은 건물에 생긴 균열이 발파 작업 때문이라 판단할 수밖에 없다고 입을 모은다. 태영건설은 공사 시공 전 교육원 건물에 대한 사전 안전 점검을 실시했다. 사전 안전 점검 보고서에 따르면 건물 내외부에 균열이 없고, 내부는 깨끗하며 안전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했다.교육원 측의 거듭된 민원에 지난 15일 철도시설공단과 태영건설, 교육원(건물주), 무안군청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현장 점검을 실시했다. 교육원과 건물주는 교육생의 안전을 위해 태영건설 측에 발파 중단을 요구했다. 하지만 당시 현장점검에 참석했던 교육원 측에 따르면 태영건설 관계자는 "안전진단을 실시하고 있고, 공기(공사 기간) 때문에 발파는 중단할 수 없다"며 "안전진단 결과가 나오면 추후 조치하겠다"고 답했다. 발주처인 철도시설공단도 특별한 대책을 내놓지 않았다. 공단 차원의 안전대책을 묻자 "시공사에 지시
오송역 KTX 정차 모습. 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