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미랑 인터뷰>40년 가까이 교단에 서서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작성일25-05-20 13:30
조회1회
댓글0건
관련링크
본문
<아미랑 인터뷰>40년 가까이 교단에 서서
<아미랑 인터뷰>40년 가까이 교단에 서서 누군가에게 가르침을 주었지만 암 앞에서는 질문부터 해야 했던 한 남성이 있습니다. 38년간 몸담은 대학교수 정년퇴임을 한 달 앞두고 방광암을 진단받은 그는 방광 적출 수술부터 요도 재발, 전이, 항암 치료 등 수년간의 힘든 과정을 거쳐야 했습니다. 재발과 전이가 반복되는 상황 속에서도 삶의 방향성을 잃지 않고 여전히 학생들을 만나 자신의 이야기를 전하며 흔들림 없이 이겨냈습니다. 현재 면역항암제 아벨루맙 1차 유지요법을 2년째 진행하며 ‘완전 관해’ 판정을 받은 그는 여전히 교육자로서 지식을 전달하는 삶을 살고 있습니다. 임준식(68·충북 청주시)씨와 그의 주치의인 충북대병원 혈액종양내과 김홍식 교수를 함께 만나 이야기 나눴습니다.방광암을 극복한 임준식씨(왼쪽)와 그의 주치의인 충북대병원 혈액종양내과 김홍식 교수./사진=신지호 기자‘혈뇨’로 알게 된 방광암2018년 1월, 임준식씨는 소변에 피가 섞여 나오는 것을 보고 깜짝 놀랐습니다. 인터넷에 검색해보니 방광 아니면 신장 쪽 문제로 짐작됐습니다. 다음날 근처 비뇨기과에 내원하자 상황이 좋지 않으니 당장 대학병원으로 가보라는 소견을 들었습니다. 곧바로 충북대병원에 내원해 검사를 받았습니다. 방광 내시경 및 조직 검사 결과, 방광 벽을 따라 암세포가 퍼져 있고 종양세포가 방광 내벽 깊숙이 침윤한 근침윤성 방광암(요로상피세포암) 2기였습니다.방광암은 소변을 저장하는 장기인 방광 내벽에 악성종양이 생겨 발생하며 90% 이상이 소변이 흐르는 요로 내부 상피세포에서 시작되는 요로상피세포암입니다. 이중 10~15%는 진행성 방광암으로 발전할 수 있으며 진행성 방광암은 5년 생존율이 9%에 불과해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임씨가 진단받은 근침윤성 방광암은 근치적 절제술을 1차 치료로 권고합니다. 임씨의 검사 및 수술을 맡은 충북대병원 비뇨의학과 윤석중 교수는 “임준식씨의 경우, 종양이 곳곳에 깊이 퍼진 상태라 수술로 방광 전체를 들어내야 했다”며 “적출 수술 후에는 소장을 잘라 인공 방광을 만드는 수술을 <아미랑 인터뷰>40년 가까이 교단에 서서 누군가에게 가르침을 주었지만 암 앞에서는 질문부터 해야 했던 한 남성이 있습니다. 38년간 몸담은 대학교수 정년퇴임을 한 달 앞두고 방광암을 진단받은 그는 방광 적출 수술부터 요도 재발, 전이, 항암 치료 등 수년간의 힘든 과정을 거쳐야 했습니다. 재발과 전이가 반복되는 상황 속에서도 삶의 방향성을 잃지 않고 여전히 학생들을 만나 자신의 이야기를 전하며 흔들림 없이 이겨냈습니다. 현재 면역항암제 아벨루맙 1차 유지요법을 2년째 진행하며 ‘완전 관해’ 판정을 받은 그는 여전히 교육자로서 지식을 전달하는 삶을 살고 있습니다. 임준식(68·충북 청주시)씨와 그의 주치의인 충북대병원 혈액종양내과 김홍식 교수를 함께 만나 이야기 나눴습니다.방광암을 극복한 임준식씨(왼쪽)와 그의 주치의인 충북대병원 혈액종양내과 김홍식 교수./사진=신지호 기자‘혈뇨’로 알게 된 방광암2018년 1월, 임준식씨는 소변에 피가 섞여 나오는 것을 보고 깜짝 놀랐습니다. 인터넷에 검색해보니 방광 아니면 신장 쪽 문제로 짐작됐습니다. 다음날 근처 비뇨기과에 내원하자 상황이 좋지 않으니 당장 대학병원으로 가보라는 소견을 들었습니다. 곧바로 충북대병원에 내원해 검사를 받았습니다. 방광 내시경 및 조직 검사 결과, 방광 벽을 따라 암세포가 퍼져 있고 종양세포가 방광 내벽 깊숙이 침윤한 근침윤성 방광암(요로상피세포암) 2기였습니다.방광암은 소변을 저장하는 장기인 방광 내벽에 악성종양이 생겨 발생하며 90% 이상이 소변이 흐르는 요로 내부 상피세포에서 시작되는 요로상피세포암입니다. 이중 10~15%는 진행성 방광암으로 발전할 수 있으며 진행성 방광암은 5년 생존율이 9%에 불과해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임씨가 진단받은 근침윤성 방광암은 근치적 절제술을 1차 치료로 권고합니다. 임씨의 검사 및 수술을 맡은 충북대병원 비뇨의학과 윤석중 교수는 “임준식씨의 경우, 종양이 곳곳에 깊이 퍼진 상태라 수술로 방광 전체를 들어내야 했다”며 “적출 수술 후에는 소장을 잘라 인공 방광을 만드는 수술을 진행했다”고 말했습니다. 임준식씨는 방광을 적출하는 수술을 받아야 한다는 사실에 두려움을 느껴 서울의 유명한 병원을 수소문하기도 했습니다. 임씨는 “방광을 완전히 잘라내야 한다는 이야기를 들으니 머릿속이 새하애졌다”며 “생전 처음 겪는 일이라 불안함과 두려움이 컸지만 주치의의 자
<아미랑 인터뷰>40년 가까이 교단에 서서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