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후기

여행후기

지난 7일 경북 청송군 청송읍 부

페이지 정보

작성자 onion
작성일25-04-08 17:15 조회2회 댓글0건

본문

지난 7일 경북 청송군 청송읍 부곡리 주왕산 국립공원 초입. 역대 최악의 산불로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지질명소로 꼽히는 '달기약수터'에는 적막감만 흐른다. #따뜻한 4월 초순 정오 무렵 찾은 경북 청송군 청송읍 부곡리. 주왕산 국립공원 초입에 늘어선 음식점들은 전소된 채 개점 휴업 상태에 놓여 있다.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지질명소로 꼽히는 '달기약수터'에는 적막감만 흐른다. 도로 주변부터 산중턱까지 뿌리부터 시커멓게 타오른 소나무들 사이엔 바닥에 깔린 잿더미와 흙먼지만 날리고 있다. 30년된 노후 헬기 1대로 주왕산뿐 아니라 지리산 등 전국 국립공원에서 동시다발한 산불 진화는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지적이 나왔다.지난 7일 환경부 기자단은 역대 최악의 산불이 덮친 주왕산 국립공원 산불피해 현장을 찾았다. 지난달 22일 주왕산 국립공원 밖 경북 의성 43㎞에서 성묘객 실화로 발생한 산불은 사흘 뒤인 25일 주왕산 국립공원 내로 확산했다. 국립공원공단 산출 결과 공원 내 산림 3260㏊가 불에 탔다. 화장실 2개소, 지원센터 1개소, 전망데크 3개소, 다목적위치표지판 30개소 등 공원시설물과 탐방로 2개 구간 5.174㎞가 피해를 입었다.주왕산 산불은 고지대에서 빠르게 확산하며 소화차량이 도달하지 못하고, 가파른 경사에 인력투입도 불가능해 초기 진화가 사실상 불가능했다. 실제 산불 당시 공단은 행정 직원까지 30~40명을 총 동원해 20리터짜리 물통을 메고 산을 오르내리며 잔불을 정리했다. 그러나 고지대에서 확산하는 주불은 헬기 투입을 기다리며 바라만 볼 수 밖에 없었다.국립공원공단은 현재 대형헬기(쿠메프 KA-32) 1대를 한라산을 제외한 전국 국립공원 산불 진화에 투입 중이다. 1997년 도입된 노후 헬기인 만큼 교체용 예산이 반영됐지만, 주왕산 지리산 등 국립공원 여러곳에서 산불이 동시다발하는 경우 물리적으로 진화가 불가능하다는 지적이다.김도헌 국립공원공단 경영기획이사는 “차량 진입이 가능한 저지대에서 발생한 산불의 경우에는 고성능 소화차량이 진화에 훨씬 유리할 수 있지만, 능선 위 주불은 헬기가 아니만 잡을 길이 없다”면서 “국립공원은 초기 진압이 중요하고 가장 효과적인 수단은 헬기다. 골든타임을 지키기 위해 권역별 헬기가 항시 대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안호경 국립공원공단 주왕산 국립공원사무소장이 7일 주왕산 국립공원 [앵커]완연한 봄이 됐지만 축산농가는 아직도 한겨울 같은 시간을 보내고 있습니다.통상 2월 말이면 자취를 감췄던 조류 인플루엔자가 올해는 4월 들어서까지 확산세가 그치지 않고 있어 농가와 방역당국의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이정은 기자가 보도합니다.[리포트]지난 주말,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가 검출된 산란계 농장 앞에 임시 통제 초소가 설치됐습니다.농장 주변에는 방역 차량이 오가며 도로를 꼼꼼히 소독합니다.[이종헌/통제초소 반장 : "이례적인 거죠. 대개 3월 말이면 거의 다 끝나요. 철새들이 가면 설치할 필요가 없는데…."]통상 2월 말이면 마무리됐던 조류 인플루엔자가 올해는 이상 기후에 철새 북상이 늦어지면서 이달 들어서까지 기세가 꺾이지 않고 있습니다.지난 4년간 3월 이후 발생한 조류 인플루엔자는 많아도 6건에 그쳤는데 올해는 4월 초 이미 두 자릿수를 기록했습니다.특히, 3월 이후 발생한 조류 인플루엔자 11건 가운데 10건이 천안과 아산, 세종과 청주 등 충청권에 집중됐습니다.2월 말까지였던 특별방역 기간을 보름 더 연장하고 연일 이동중지를 명령했는데도 확산세가 꺾이지 않자, 방역당국이 이례적으로 4월 한 달간 겨울철 못지않은 고강도 방역에 나서기로 했습니다.충청권을 오가는 모든 축산차량은 거점소독시설에서 시료를 채취해 정밀검사하고 발생지엔 특별방역단이 투입됩니다.[장은숙/아산시농업기술센터 축산과장 : "지난주에 AI가 발생해서 겨울철보다도 더 방역을 강화했는데 전 가금 농가에 매일 진입로를 소독할 수 있도록 조치를 해 놨고요."]기후 변화가 가축 전염병 장기화까지 촉발하면서 축산업에 타격을 주고 있습니다.KBS 뉴스 이정은입니다. 촬영기자:강욱현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카카오 '마이뷰',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이정은 기자 (mulan8@kbs.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