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후기

여행후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

페이지 정보

작성자 onion
작성일25-04-08 17:18 조회1회 댓글0건

본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 AFP=뉴스1 ⓒ News1 우동명 기자 (서울=뉴스1) 박우영 기자 = 파나마 정부는 7일(현지시간) 피터 헤그세스 미국 국방장관의 방문을 몇 시간 앞두고 홍콩의 물류 대기업 CK허치슨이 파나마 운하 항만 운영과 관련된 계약 조건을 위반했다는 감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날 파나마 정부가 공개한 감사 결과에 따르면, CK허치슨의 자회사인 '파나마 포트'는 항만 운영을 위한 양허 계약의 여러 조항을 위반했으며, 이로 인해 파나마 정부는 계약에 따라 받아야 할 12억 달러(약 1조 8000억 원)의 수익을 받지 못했다. 아넬 플로레스 국가 감사원장은 "이는 매우 민감한 사안"이라며 미납된 양허료 문제를 검찰에 고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감사 결과는 헤그세스 장관의 방문을 불과 몇 시간 앞두고 나왔다. 헤그세스 장관은 이날 호세 라울 물리노 파나마 대통령과 회담을 가진 뒤 파나마 운하를 직접 방문할 예정이다.플로레스 감사원장은 이번 감사 발표가 헤그세스 장관 방문과는 무관하다고 주장했지만, 파나마 정부가 미국을 달래기 위해 중국 기업과 계약을 해지할 명분을 마련한 게 아니냐는 의심이 나온다. CK허치슨은 1997년 계약을 맺고 파나마 운하에 인접한 5개 항구 중 발보아, 클리스토발 항구를 운영해왔으며 2021년 기존 운영 계약을 2047년까지 연장했다. 하지만 1월에 취임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운하를 중국이 통제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불만을 표명했다. 파나마 운하는 미국이 한때 관리하던 중요한 전략 자산이다. 트럼프는 심지어 파나마 운하를 다시 통제하기 위해 군사력 사용을 배제하지 않겠다고 발언하기도 했다. 이에 물리노 대통령이 나서서 CK허치슨과의 파나마 항구운영 계약을 취소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2월에는 중국과의 일대일로 협정을 탈퇴하는 등 '미국 달래기'에 나섰고, 결국 CK허치슨은 지난 달 항만 운영권 90% 지분을 미국 사모펀드 블랙록이 이끄는 컨소시엄에 약 190억 달러(28조 원)에 매각하기로 했다.사실상 트럼프 대통령의 압박에 파나마 항구 운영권이 매각을 앞두게 되자 중국은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CK허치슨의 운영권 매각에 반독점법 위반 사항이 없는지 조사하라고 산하 기구에 지시한 데 이어, CK허치슨 창업주인 리카싱이 보유한 중국 항만운항권을 회수하려는 움 이와야 다케시 일본 외무상이 8일 각료회의에서 보고한 ‘2025년 외교청서.’ 도쿄/홍석재 특파원 forchis@hani.co.kr 일본 정부가 국제정세와 일본 외교활동을 기록한 백서인 외교청서에서 한국의 12·3 내란 사태에 대해 “윤석열 (전) 대통령이 2025년 1월15일 한국 현직 대통령으로는 처음 체포·구속됐다”고 적었다. 일본은 ‘독도는 일본땅’이라는 억지주장을 이어가면서도 “한·일 관계의 중요성은 변함이 없다”는 입장은 유지했다.이와야 다케시 일본 외무상은 8일 각료회의에서 ‘2025년 외교청서’를 보고했다. 이번 외교청서에서 한국 관련 부분에선 지난해 12월3일 발생한 윤 전 대통령의 내란 사태를 자세히 언급했다. 청서는 “윤 대통령이 12월3일 밤, 야당에 의해 행정이 마비되고 있다는 등 이유로 44년 만에 비상계엄령을 발동했다”며 “이튿날 새벽 국회에서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이 통과되면서 계엄령이 해제됐고, 이후 국회가 헌법 위반을 이유로 대통령 탄핵 소추안을 제출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올해 청서에는 지난 1월15일 윤 전 대통령의 구속 기소 과정까지만 기록했다. 청서는 “윤 대통령이 한국 현직 대통령으로는 처음 체포 구속되었고, 이후 검찰이 내란죄 혐의로 재판에 넘겼다”고 적었다. 올해 외교청서는 지난해 1∼12월 일어난 사안을 중심으로 정리됐고 중요한 사안으로 꼽히는 한국 탄핵 관련해서는 1월 중순, 미-일 정상회담 문제는 2월 중순까지 반영했다. 일본 정부는 해마다 4월 국제정세와 일본 외교활동을 기록한 백서인 외교청서를 발표한다. 제작 기간 등을 감안하면 지난 4일 헌법재판소의 윤 전 대통령 파면 결정은 담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하지만 일본 정부는 탄핵 정국 속에서도 한국과의 관계 유지에 애썼다는 점을 강조했다. 청서는 “한국은 국제사회에서 다양한 과제에 대응하는 데 파트너로서 협력해야 할 중요한 이웃 나라로서 한일 관계 중요성은 변하지 않는다”는 점을 재확인했다. 또 내란 사태 과정에서도 “비상계엄령으로 한국 정세가 유동적으로 된 뒤에도 이시바 총리가 한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