훠궈를 즐겨 먹던 중국 여성이
훠궈를 즐겨 먹던 중국 여성이 구강암 진단을 받은 사연이 전해졌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일주일에 네 번 이상 훠궈를 먹던 중국 여성이 구강암 진단을 받았다.최근 중국신문망에 따르면 평소 훠궈를 즐겨 먹던 여성 A씨는 입안에 여러 개의 흰 반점이 생기자 매운 음식을 자주 먹어 궤양이 나타난 것이라고 여겼다. 그러나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흰 반점은 시간이 지나도 사라지지 않았고, 병원을 찾은 결과 구강암이라는 진단을 받았다.병원 검사 당시 A씨의 혀와 볼, 입천장에는 종이조각처럼 보이는 여러 개의 흰 반점이 있었다. 이는 훠궈에 들어간 자극적이고 매운 양념이 구강 점막을 자극해 생긴 것이다.난징시 제2병원 종양과 주임 쉬한펑 교수는 "구강 점막의 흰 반점은 암이 발생하기 전 단계"라며 "만약 이 반점이 혀 뒤쪽, 입 바닥, 입천장, 입 모서리 부위에 나타나면 암으로 발전할 확률이 높고, 환자의 약 50% 이상이 구강암에 걸린다"라고 말했다.쉬 주임은 "매년 약 100건의 구강암 환자를 치료하는데, 흡연과 음주 뿐 아니라 훠궈를 즐겨 먹은 게 원인이 된 사례도 적지 않다"면서 "구강 점막이 자극을 받으면 두꺼워지면서 자극에 둔감해지고, 더 뜨겁고 자극적인 음식을 먹으면서 악순환으로 이어진다"라고 경고했다.자극적인 훠궈 자주 먹으면 구강 점막 손상될 수도훠궈는 고온의 육수에 매운 마라 소스를 비롯해 다양한 향신료가 들어가는 자극적인 음식이다. 따라서 훠궈를 자주 먹으면 입 안 점막에 열 손상과 염증이 누적되고, 미세한 상처가 아물지 못하고 만성화될 수 있다.이렇게 뜨겁고 매운 음식은 구강 점막을 반복적으로 자극해 세포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데 중국 여성의 사례처럼 쉽게 사라지지 않는 흰색 반점은 조기 구강암 또는 전암성 병변일 가능성이 있다.2주 이상 지속되는 입 안 반점, 구강암 의심해야구강암이라면 병변이 작은 초기에는 비교적 간단한 수술로 끝나지만, 암의 크기가 크다면 턱뼈, 혀의 일부, 림프절까지 절제해야 할 수도 있으므로 조기 발견 및 치료가 중요하다.구강암 치료 후에는 말하기, 먹기, 삼키기 등의 기능 회복이 필요할 훠궈를 즐겨 먹던 중국 여성이 구강암 진단을 받은 사연이 전해졌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일주일에 네 번 이상 훠궈를 먹던 중국 여성이 구강암 진단을 받았다.최근 중국신문망에 따르면 평소 훠궈를 즐겨 먹던 여성 A씨는 입안에 여러 개의 흰 반점이 생기자 매운 음식을 자주 먹어 궤양이 나타난 것이라고 여겼다. 그러나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흰 반점은 시간이 지나도 사라지지 않았고, 병원을 찾은 결과 구강암이라는 진단을 받았다.병원 검사 당시 A씨의 혀와 볼, 입천장에는 종이조각처럼 보이는 여러 개의 흰 반점이 있었다. 이는 훠궈에 들어간 자극적이고 매운 양념이 구강 점막을 자극해 생긴 것이다.난징시 제2병원 종양과 주임 쉬한펑 교수는 "구강 점막의 흰 반점은 암이 발생하기 전 단계"라며 "만약 이 반점이 혀 뒤쪽, 입 바닥, 입천장, 입 모서리 부위에 나타나면 암으로 발전할 확률이 높고, 환자의 약 50% 이상이 구강암에 걸린다"라고 말했다.쉬 주임은 "매년 약 100건의 구강암 환자를 치료하는데, 흡연과 음주 뿐 아니라 훠궈를 즐겨 먹은 게 원인이 된 사례도 적지 않다"면서 "구강 점막이 자극을 받으면 두꺼워지면서 자극에 둔감해지고, 더 뜨겁고 자극적인 음식을 먹으면서 악순환으로 이어진다"라고 경고했다.자극적인 훠궈 자주 먹으면 구강 점막 손상될 수도훠궈는 고온의 육수에 매운 마라 소스를 비롯해 다양한 향신료가 들어가는 자극적인 음식이다. 따라서 훠궈를 자주 먹으면 입 안 점막에 열 손상과 염증이 누적되고, 미세한 상처가 아물지 못하고 만성화될 수 있다.이렇게 뜨겁고 매운 음식은 구강 점막을 반복적으로 자극해 세포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데 중국 여성의 사례처럼 쉽게 사라지지 않는 흰색 반점은 조기 구강암 또는 전암성 병변일 가능성이 있다.2주 이상 지속되는 입 안 반점, 구강암 의심해야구강암이라면 병변이 작은 초기에는 비교적 간단한 수술로 끝나지만, 암의 크기가 크다면 턱뼈, 혀의 일부, 림프절까지 절제해야 할 수도 있으므로 조기 발견 및 치료가 중요하다.구강암 치료 후에는 말하기, 먹기, 삼키기 등의 기능 회복이 필요할 수 있다. 특히 혀, 입술, 턱 등의 수술을 받은 환자들은 언어재활치료, 식이 재활, 심리 상담 등을 병행하게 된다.만약 입 안에 2주 이상 지속되는 흰색 혹은 회색 반점이 잇몸, 혀, 뺨 안쪽 등 같은 부위에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점차 커지거나 주변에 붉은 테두리가 생기면 구강암을 의심해야 한다.구강암을 예방하려면 평소 자극적인 음식을 자주 먹지 말고 음식을 충분히 식혀서 섭취한다. 흡연자라
훠궈를 즐겨 먹던 중국 여성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