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법재판소의 윤석열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파면 선고가 하루 지난 5일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가 적막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25.4.5/뉴스1 ⓒ News1 이동해 기자 (서울=뉴스1) 김정률 기자 = 파면 이틀째인 5일 서울 한남동 대통령 관저에 머물고 있는 윤석열 전 대통령은 이르면 이달 중순쯤에야 관저를 떠날 것으로 보인다.대통령실 관계자는 이날 윤 전 대통령 관저 퇴거 시점에 대해 "아직 정리할 짐도 있고, 주말은 넘길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탄핵 인용 이후 관저를 언제까지 비워야 한다는 명시적 규정은 없다. 박근혜 전 대통령은 2017년 탄핵 인용 후 약 56시간 만에 청와대를 떠나 삼성동 사저로 이사했다.윤 전 대통령은 2022년 5월 취임 이후 6개월가량 머문 서초동 사저로 옮길 가능성이 가장 크다. 이미 경호가 이뤄진 서초동 사저가 가장 적합하다는 것이다.'전직 대통령 예우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대통령이 재직 중 탄핵 결정을 받아 퇴임한 경우에도 전직 대통령에 대한 경호·경비는 유지된다. 경호처 관계자는 "윤 전 대통령이 이주할 장소가 결정되면 관련 법률과 규정 등에 따라 경호 활동을 시행할 것"이라면서도 "아직 퇴거 계획을 통보받은 바는 없다"고 했다.다만 윤 전 대통령이 수도권에 제3의 장소를 물색하고 있다는 얘기도 나온다.일반적으로 전직 대통령의 사저에는 별도 경호동이 설치되지만, 서초동 사저는 도심 대로변에 위치한 고층 공동주택으로 경호 공간 확보가 쉽지 않고 반려견이 살기에도 적합하지 않기 때문이다.윤 전 대통령은 전날 헌법재판소의 파면 결정 이후 관저에 머물며 국민의힘 지도부 및 중진 의원, 대통령실 참모진 등과 만났다.윤 대통령은 전날 관저를 찾은 권영세 비대위원장, 권성동 원내대표 등 당 지도부에게 국민과 지지자들에게 미안하고 고마운 마음을 가지고 있다며 대선 승리를 바란다는 말을 전했다.이어 정진석 대통령 비서실장 등 대통령실 3실장과는 오찬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자리에서 윤 전 대통령은 담담한 모습을 보였고, 참모진들은 위로의 말을 전한 것으로 보인다.앞서 정 실장을 비롯한 대통령실 고위 참모진은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에게 일과 사 2025년 1월 23일 대통령 탄핵심판 4차 변론기일에 참석한 윤석열 전 대통령(왼쪽 사진)과 증인으로 출석한 김용현 전 국방부장관. 헌법재판소 제공 내란 혐의로 구속기소 된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결정에 불복하는 듯한 내용의 옥중서신을 공개해 논란이다.5일 정치권 등에 따르면 헌재에서 윤 전 대통령의 파면이 선고된 전날 김 전 장관이 작성한 자필 편지를 변호인단이 공개했다.김 전 장관은 편지에서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이라고 말문을 연 뒤 “우리의 여망대로 되지 않았다. 너무나 큰 분노와 실망감을 감출 수 없다”고 말했다.그는 “하지만 이게 끝이 아니다. 시작”이라며 “RESET KOREA. YOON AGAIN! (한국을 원점으로. 다시 윤 전 대통령!)”이라고 주장했다.이어 “다시 대한민국! 다시 윤석열! 다시 대통령!”이라며 “자유대한민국 수호를 위해 더욱 뭉쳐서 끝까지 싸우자”고 했다.그러면서 “우리는 더 이상 물러설 곳이 없다”며 “법의 심판보다 더 강력한 국민의 심판이 남았다. 오직 앞만 보고 우리 후손들의 미래를 위해 더욱 힘차게 싸우자”고 덧붙였다. 김용현 전 국방부장관 옥중편지. 변호인단 제공 김 전 장관의 이 같은 메시지는 헌재 결정에 불복하며 윤 전 대통령 지지자들의 집단 반발을 선동하려는 취지로 풀이된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이미 윤 전 대통령이 파면된 상황에 허황된 주장이라는 지적이 나온다.앞서 헌재는 4일 오전 11시22분 재판관 전원일치 의견으로 윤 전 대통령에 대한 파면 선고를 내렸다. 윤 전 대통령이 12·3 비상계엄을 선포한 지 122일 만이며, 지난해 12월 14일 탄핵소추안이 접수된 지 111일 만이다.헌재는 비상계엄 선포 위헌·위법성(국무회의 절차), 포고령 1호의 위헌성, 군경을 동원한 국회 봉쇄 의혹,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압수수색 및 장악 시도, 정치인과 법조인의 체포조 운용 등 5가지 쟁점에 대해 모두 위헌·위법하다고 판단했다.윤 전 대통령은 선고 이후 입장문을 내고 “그동안 대한민국을 위해 일할 수 있어서 큰 영광이었다”며 “여러분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해 너무나 안타깝고 죄송하다. 사랑하는 대한민국과 국민 여러분을 위해 늘 기도하겠다”고 밝혔다. 헌재 결정에 승복한다는 입장은 구체적으
헌법재판소의 윤석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