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링크구매
2일 오전 미얀마 만달레이의 지진으로 무너진 아파트에서 시신 수습 작업이 이뤄지고 있다. 가족 시신이 발견돼 오열하는 미얀마 여성을 구조대원이 끌어안고 위로하고 있다. 만달레이(미얀마)=허경주 특파원 “여기! 10대 추정 사자(死者) 두 명!”2일 오전 9시 10분, 미얀마 제2도시 만달레이 중심부에 위치한 12층 규모 아파트 ‘스카이빌라’ 붕괴 현장. 이날 수색 시작 10분 만에 무너진 건물 잔해 위에서 굴착기로 콘크리트 더미를 헤집던 중국 청전구조대 소속 대원이 아래를 향해 소리쳤다.한 미얀마인이 이를 통역하자 구조 활동을 지켜보던 사람들의 눈이 동그래졌다. 순간, 한 여성이 벌떡 일어서며 외쳤다. “내... 내 아이들 같아요!” 이 건물에 인근 대학에 재학 중이던 딸 수나디(20)와 아들 아마디(15)가 함께 살았는데, 아직 생사가 확인되지 않았다는 게 그의 설명이었다.다른 중국 구조대원들과 미얀마인 자원봉사자들이 곧바로 잔해 사이를 확인할 내시경 카메라와 철근을 자를 화염방사기, 소독제 등을 짊어지고 잔해 위로 뛰어올라갔다.무더위 속에서 시신을 끄집어낼 공간을 확보하느라 사투를 벌인 지 1시간 50분이 지난 시각. 한 작업자가 다급하게 시신 수습 가방과 방수포를 준비했다. 오전 11시, 한 명이 먼저 건물 밖으로 빠져나왔다.여성의 아들 아마디가 맞았다. 내내 눈물을 참고 있던 엄마와 할머니는 아이의 얼굴을 확인하고는 비명에 가까운 울음을 토해냈다. 그는 기자에게 휴대폰 속 사진을 보여주며 아이들이 얼마나 사랑스럽고 아름다웠는지를 한참 설명한 뒤 이렇게 말했다. “미얀마뿐 아니라 다시는 어느 곳에도 이런 비극이 생기지 않도록, 그리고 세상 사람들이 우리의 이야기를 알 수 있도록 꼭 자세히 전해주세요.” 한 미얀마 여성이 2일 만달레이 지진 구조 현장에서 시신으로 발견된 아들 아마디(왼쪽)의 생전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만달레이(미얀마)=허경주 특파원 아직 가족의 생사도 확인하지 못한 남은 이들은 누군가는 망연자실한 얼굴로, 누군가는 부러운 얼굴로 이들을 바라보며 눈물만 흘렸다.’기적’ 바라기 어려운 상황이날 구조 작업이 진행된 스카이빌라는 지상 12층, 지하 2층 규모 아파트다. 400 전라남도 신안군 임자도 대광해수욕장 해변에 핀 튤립. 바다를 배경으로 피어 있는 풍경이 인상파 그림을 연상하게 한다. 전라남도 신안군(박우량 군수)에 있는 선도는 남북으로 4㎞, 폭은 2㎞쯤 되는 작은 섬이다. 목포에서 북서쪽으로 51㎞ 떨어진 이 섬은 매미를 닮아 매미 선蟬자를 섬이름으로 갖게 됐다. 여유 있게 걸어도 1시간 반 정도면 섬을 다 둘러볼 수 있다. 가구 수는 160여 호, 주민 수는 258명(2020년 기준). 뭍으로 자식들 보내고 내외 단둘이 살거나 혼자 사는 노인이 대부분이다.선도 갯벌은 유네스코가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해 보호하는 세계적인 자연유산이다. 간척으로 경작지가 넓어 섬 마을치고는 이례적으로 농업이 주업이었지만 쌀값이 예전 같지 않아 주민들은 낙지잡이 등 갯벌에 기대어 살고 있다. 선도의 수선화 군락. 해마다 섬 인구의 수십배에 달하는 뭍사람들이 이 광경을 보기 위해 찾아오고 있다. 올해 축제는 4월 4일부터 4월 13일까지 선도에서 열린다. 할머니가 싹을 뿌린 수선화 꽃밭조용한 선도에 지난 2019년 마을 인구의 수십 배에 달하는 외지인들이 찾았다. 생전 처음 경험하는 시끌벅쩍에 주민들도 어리둥절. 뭍사람들을 불러들인 건 노랗고 하얀 꽃을 피우는 수선화였다. 선도가 '수선화 섬'으로 알려지게 된 건 '수선화 할머니' 고故현복순씨 덕분이다. 30여 년 전 남편 고향인 선도에 정착한 할머니가 취미삼아 가꾼 꽃밭에 섬 주민들과 신안군이 힘을 모아 멋진 수선화 섬으로 가꿨다. 푸른 바다와 노랗고 하얀 수선화가 어울리는 풍경은 인상파 화가의 그림을 닮았다. 국내 다른 지자체에서도 수선화 축제는 열리지만 선도의 축제는 번잡하지 않아 좋다. 교통 체증이나 호객행위 없이 호젓하게 축제를 즐길 수 있다. 섬에 차를 싣고 갈 수도 있지만 섬이 크지 않고 자전거를 빌릴 수도 있어 차는 두고 가는 걸 권한다. 올해는 4월 4일부터 4월 13일까지 열리는데 노란색 옷을 입고 가면 입장료를 3,000원 할인 받을 수 있다. 임자도 튤립 축제 전경. 절반 넘는 땅이 해수면 아래 있었던 임자도의 지형은
백링크구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