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링크구매
[서울=뉴시스] 사진공동취재단 =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 등이 4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심판 선고기일에 참석하고 있다. 2025.04.04. photo@newsis.com [세종=뉴시스]성소의 기자 = 환경단체들이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에 대해 일제히 환영 입장을 밝혔다. 환경운동연합은 4일 성명을 내고 "윤석열 파면을 환영한다"며 "민주주의와 헌정질서를 파괴함은 물론 핵 폭주와 생태계 파괴, 기후위기 가속화로 시민의 생명과 안전마저 위협했던 윤석열의 폭정은 마땅한 파국을 맞았다"고 밝혔다.이어 "윤석열의 파면만으로 우리가 당면한 위기는 끝나지 않는다"며 "정의롭고 지속 가능한 사회를 세우는 일이 앞으로의 과제로 남았다"고 했다.그러면서 "생명과 평화의 나라로 나아가야만 윤석열로 표상되는 위기와 폭력의 시대를 완전히 넘어설 수 있을 것"이라며 "윤석열 파면은 빛의 혁명의 끝이 아니라 시작이 되어야 한다"고 밝혔다.녹색연합은 "내란수괴 윤석열의 파면은 민주주의와 법 질서를 지켜낸 시민의 승리"라며 "이제 12.3 비상계엄과 군대 동원으로 민주주의를 공격한 윤석열과 내란 동조 세력은 처벌될 것이고, 그들로 인해 수개월 간 지속 된 불안과 혼란은 종식되고 빼앗긴 일상은 회복될 것"이라고 했다.또 "선거를 통해 새로 구성될 정부는 사회 개혁 과제를 재수립하고 추진해야 한다"며 "더 강한 연대와 포용으로 굴절되고 분절된 우리 사회의 갈등도 보듬어야 한다"고 주장했다.기후솔루션은 "탄핵 선고가 '기후실패' 정치와 작별하고 '기후희망' 정치로 나가는 계기가 돼야 한다"고 밝혔다.이들 단체는 "기후 위기는 민주주의 위기 못지 않게 심각한 상황"이라며 "산불과 폭설 등 빈번한 재난으로 실제 체감하는 안전의 위험 뿐 아니라, 물가를 상승시키고 금융 불안을 높혀 경제도 위협하고 있다"고 했다.이어 "이런 복합적인 위기를 헤쳐나갈 혜안이 다음 대통령을 뽑을 다가올 선거 과정에서 논의되고, 현명한 후보가 당선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공감언론 뉴시스 soy@newsis.com 최근 공개된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가 화제다.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인기몰이 중이다. 총 16부작인 이 드라마는 한국을 포함한 8개국에서 1위를 기록했고 41개국에서는 상위 10위권에 올랐다. 제주도를 배경으로 1960년대부터 오늘날까지 한국의 현대사를 담았으며, 모처럼 울고 웃는 재미있는 콘텐츠로 다시 한번 K콘텐츠의 저력을 보여준다. ⓒ 1951년생 소녀 감성 충만한 오애순(이지은 분)은 억척스러운 어머니 밑에서 시인을 꿈꾼다. 하지만 일찍이 부모님을 여의면서 문학 소녀의 꿈은 날아가고 순탄치 않은 유년기를 보낸다. 그런 애순을 지켜보던 양관식(박보검 분)은 조용히 사랑을 키우며 애순의 수호천사가 된다. 당차고 야무진 애순은 순애보인 관식과 결혼해 가난하지만 가정을 꾸린다. 그리고 삼남매를 낳고 살던 어느날 막내 금명이 사고로 세상을 떠나면서 애순과 관식은 마음에 큰 짐을 안고 살게 된다. 유년기부터 노년기에 이르기까지 애순의 굴곡진 인생, 문학소녀를 꿈꾸던 애순은 노년이 되어서야 그 꿈을 이루게 된다.드라마는 우리에게 위안과 치유를 선사한다. 제주도의 아름다운 풍광을 배경으로 그 옛날 그 시절의 향수를 불러일으킨다. 더욱이 70~80년대를 살았던 노년층과 90대를 지나 밀레니엄시대를 경험했던 중장년에게는 시대상을 반영한 드라마로 인해 그때를 다시 떠올리며 추억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다. 뿐만 아니라 애순의 봄을 상징하는 유채꽃과 푸른 제주도의 모습은 보는 이의 마음을 사로잡는 것은 물론 거칠고 각박한 현대사회에 위안과 힐링을 선사하는 기회도 제공한다. 드라마는 1960년대 제주부터 2025년 서울까지 시대의 변화를 고스란히 담아내고 있는데 제작진은 VFX 시각특수효과를 이용해 시대적 분위기와 장소를 생생하게 살려냈다. 인생의 희노애락을 한 편의 드라마를 통해 보여줌으로써 삶이 소중함과 행복을 다시 한번 느낄 수 있도록 돕는다. ⓒ 한 남자의 지고지순한 사랑도 느낄 수 있다. 문학 소녀 애순은 섬 촌놈 관식을 만나 처음에는 손도 잡지 못하는 풋풋한 관계로 시작하지만 사랑을 넘어서는 깊이를 지닌 관계로 발전한다. 애순은 시를 쓰고 서울의 대학을 다니고 서울에서 남자를 만나 서울에 살고 싶어 했다. 하지만 여자애가 공부를 잘하면 장손의 길을 막는다는 사회적 편견과 가부장적 환경이 그녀를 비상하게 만
백링크구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