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후기

여행후기

● 주말이면 발 디딜 틈 없는 젊음의 거리로 변신●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작성일25-04-24 11:00 조회1회 댓글0건

본문

● 주말이면 발 디딜 틈 없는 젊음의 거리로 변신● 버스킹 등 문화예술 공간 정비로 시민 관심↑● 옥외광고 기준 완화로 다채로운 야경은 ‘덤’● 대중교통 구간 해제, 주차 개선으로 접근성 확보● 도심 캠퍼스 조성으로 대학생 즐겨 찾는 명소化 2월 24일 대구 중구 동성로를 채운 인파. 홍중식 기자 "인파로 혼잡 시 우측 보행." 서울 번화가에서나 만날 법한 안내 문구가 붙여진 곳은 서울에서 200㎞ 넘게 떨어진 대구 구시가지 동성로다. 2월 24일, 월요일 저녁인데도 대구 동성로는 '불야성'이었다. 밤 9시에도 문 닫은 가게를 찾기 어려웠다. 가게 종류도 다양했다. 직장인을 주 고객으로 하는 호프 등 가벼운 주점과 식당은 물론 오락실, 실내 스크린 야구장, 볼링장 등 가족 단위로 찾을 만한 가게도 많았다.동성로4길은 그야말로 젊음의 거리였다. 클럽이 밀집한 이곳에서는 주말 밤이면 음악 소리가 쩌렁쩌렁 울린다고 한다. 동성로에서 의류 매장을 운영 중인 김모(37) 씨는 "동성로 클럽 밀집 지역에는 클럽과 헌팅포차가 여럿 있어 주말에는 발 디딜 틈 없이 붐빈다"고 말했다.지금은 동성로가 불야성을 이루고 있지만 불과 한두 해 전만 해도 대구 젠트리피케이션의 상징과도 같았다. 한국부동산원 통계에 따르면 2024년 3분기(7~9월) 기준 동성로 중대형 상가 공실률은 19.82%로 코로나19 사태가 심각했던 2020년 4분기(10~12월) 18.12%보다 높은 수치였다. 동성로 인근에서 10여 년간 요식업을 해왔다는 유모(52) 씨는 "동성로 임대료가 크게 올라 버티지 못한 상인이 하나둘 다른 상권으로 떠났다"며 "수성구의 수성못, 중구 대봉동 '김광석 다시 그리기길'과 방천시장 등 다른 번화가로 주요 상권이 이동하는 추세"라고 말했다.대구시는 구도심 동성로를 부활시키기 위해 지난해부터 '동성로 르네상스' 사업을 본격 추진하고 있다. 대구 동성로는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서울 강남, 부산 서면과 함께 '한국 3 스튜디오얀(STUDIO YARN)의 스카프 삽화가 일상의 공간으로 예술을 초대하는 전시 ‘Take Me Home’을 통해 전시, 판매된다. 24일(목)부터 5월 4일(일)까자 부산 해운대 소재의 대림멘션 갤러리 이알디(ERD) 부산에서 열리는 ‘Take Me Home’ 전시는 소장 가능한 예술작품을 통해 관람자와 작가의 감정이 조용히 연결되고, 작품 하나가 누군가의 이야기가 되어 집으로 돌아가는 순간이 될 수 있도록 기획됐다. 해당 전시에서 스튜디오얀은 정사각형 안에 감정과 경험을 담아낸 스카프 삽화 작품 10점을 선보일 예정으로써 작품들은 헬싱키의 Maxim Usik 작가, 프랑스의 Simon Bailly 작가, 뉴욕의 Kyle Ellingson 작가가 각각 그간 스튜디오얀의 실크스카프에 디자인하며 큰 호응을 얻은 아트워크다. 스튜디오얀은 실력 있는 해외 작가들과 협업하여 특별한 삽화를 완성해 왔는데, 하나의 주제를 중심으로 생각과 경험을 나누고, 그 모든 이야기를 정사각형 안에 녹여내면서 오랜 시간에 걸쳐 작품을 탄생시켜 왔다. 각 작품들은 구석구석 위트와 감동이 스며들어 볼수록 새로운 재미가 발견되고, 한 장의 그림이 주는 따뜻한 기분은 오래도록 머무른다는 평이다. 특히 이번 전시에서는 전통 칠보 기법을 현대적으로 풀어낸 김윤진 작가의 공예 오브제가 함께 전시되는데, 스튜디오얀의 삽화와는 다른 매력을 동시에 관람함으로써 보다 풍성한 콘텐츠를 즐길 수 있을 예정이다. 두 작업 모두 손의 감각과 시간의 밀도를 바탕으로 만들어져 더 따뜻하고, 더 가까이 두고 싶은 작품들일 것이라는 게 주최측 설명이다. 스튜디오얀의 스카프 삽화는 대림멘션 갤러리 이알디 부산에서 오프라인 판매와 함께 온라인 판매도 함께 진행될 예정이다. 스튜디오얀의 삽화 판매는 이번이 최초다. 금번 전시는 낮 12시부터 오후 6시까지 관람 가능하며, 자세한 사항은 대림멘션 갤러리 이알디로 문의하면 된다. 관계자는 “이번 전시는 작품을 감상하는 전시를 넘어 소장하고 싶은 감정을 만나고 내 공간으로 데려가는 경험을 제안하고자 기획된 만큼 여기에 충실한 대상이 스튜디오얀의 아크워크 작품들이라 할 수 있다”며 “다른 곳에서는 접하기 힘든 느낌을 받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박시현 인턴기자 park.sihyun1@joongang.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